음악 유니버스로 유혹하는 세이렌 게임 깨고 나온 K팝 걸그룹 K/DA 인터비즈

‘You know whoitis (누군지 알잖아)’ – POP/STARS 가사 중

게임으로만 보던 이들이 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자 “어겼다”는 외침이 곳곳에서 쏟아졌다. 알리, 이블린, 카이사, 아카리는 이날 전장을 누비는 본업 대신 축제를 여는 걸그룹으로 처음 무대에 올랐다. 미국 싱어송라이터 매디슨 비어와 자이라 번스, 걸그룹(여자)아이들 미연과 소연도 이들(K/DA)과 함께하며 현장에 모인 게임팬들을 열광시켰다. ‘롤드컵(LoL 월드 챔피언십)’이 열린 2018년 11월 인천 문학 경기장은 가상과 현실의 존재가 한자리에 모여 춤추고 노래하는 일종의 메타버스 축제장이었다.

K/DA는 롤의 인기 챔피언(캐릭터)으로 만들어진 K팝 걸그룹. 지난달 인터비즈가 인터뷰한 라이엇게임즈(롤 개발·운영사) 브랜드 매니저 김준우, 토아단(Toa Dunn) 뮤직팀 총괄(K/DA 기획담당자)은 K팝을 좋아하는 동료들의 성원에 힘입어 K/DA를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다. 팬카페가 만들어지는 등 아이돌 못지않은 팬덤이 형성되고 있음을 실감하는 가운데 이들은 K/DA의 새로운 미래를 구상하고 있었다.

라이엇게임즈는 K/DA 데뷔 당시 시청자에게는 홀로그램 기술로, 현장에는 모니터로 이들의 퍼포먼스를 중계했다. 이 공연은 K/DA를 스타 반열에 올려 훗날 에스파(SM엔터테인먼트) 등의 탄생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K/DA는 이제 롤의 마케팅 수단을 넘어 문화, 엔터테인먼트 등 타 시장으로 확장 가능한 라이엇 게임즈의 주요 자산이 됐다.

데뷔곡 ‘팝/스타(POP/STARS)’ 뮤직비디오는 하루 기준 이미 유튜브 조회수가 4억6000회 이상이다. 2집 ‘올 아웃(AlLOUT)’도 1억 회를 훌쩍 넘겼다. 케이팝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넘어선 것은 싸이, BTS, 블랙핑크, 트와이스, 빅뱅 등 내로라하는 20여명의 아티스트 정도뿐이다.라이엇게임즈는 여세를 몰아오는 롤드컵에서도 주목을 받을 만한 챔피언을 등장시킬 예정이다.

2018년 11월 3일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롤드컵 오프닝 무대에 등장한 K/DA의 모습(영상). K/DA는 이들의 실제 목소리를 연출한 아티스트 매디슨 비어 자이라 번스, 걸그룹 (여자)아이들 미연, 소연과 합동 공연을 펼쳤다. 영상물럭물럭 라이엇 게임즈 유튜브

사실 K/DA는 라이엇게임즈가 만든 첫 아티스트는 아니다. 라이엇게임즈는 이미 2014년 가상의 헤비메탈 밴드 ‘펜타킬’을 만들어 처음으로 음악 유니버스를 구축했다. 펜타킬은 한 명이 상대팀 전체 5명을 일정 시간 안에 연속으로 잡으면 표시되는 문구다. 게임 용어를 콘셉트로 한 펜타킬은 1집과 2집 모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라이엇게임즈가 다음 프로젝트로 선택한 곳이 K/DA다.

‘2018년 롤챔피언십 결승전에 선보일 새로운 아티스트를 고민하던 중 K팝 걸그룹을 기획해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내부에 케이팝 팬들이 정말 많아. 문제는 기존 헤비메탈 밴드를 기획하는 것과 K팝 걸그룹을 만드는 것은 완전히 다른 작업이라는 점이었다. 단순히 한국어를 쓴다고 해서 모두 K팝 장르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 K팝을 독특하게 만들지 고민이 필요했다. 음악 장르부터 비주얼적인 부분까지 아주 오랫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지금의 K/DA 음악과 콘셉트, 무대는 그런 고민의 결과다.

팬들에게 어떻게 보여줄지도 중요했다. 펜타스크릴의 헤비메탈 장르는 K팝 걸그룹과 달리 퍼포먼스가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그런데 K/DA는 ‘진짜 살아있는 아티스트처럼 만들어보자’는 의견이 많았다. 실제로 걸그룹을 기획하듯 매력적인 멤버를 모집(챔피언 선택)해 이에 맞춰 역할을 부여했다. 예를 들어 게임 속 암살자인 아카리에게는 ‘걸크러시’ 래퍼 역할을 맡기는 식이다.

개성 있는 챔피언으로 K/DA를 구성하고 싶었다. K/DA가 다양한 느낌을 주길 바랐고 동시에 각각의 챔피언이 팬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야 했다. 챔피언이 가지고 있는 배경 스토리와 성격을 고려해 알리와 이블린, 카이사, 아카리를 K/DA 멤버로 선정했다. 그 다음은 각 챔피언의 성격에 맞게 역할을 부여했다. 앨리는 메인 보컬 및 비주얼, 카이사는 댄서 이블린에게 디바와 메인 보컬 역할을 했다.

롤게임 내부에서의 아카리와 K/DA 아카리, 이미지 ᅡᄋ ア 라이엇 게임즈 제공

라이엇게임즈 김준우 브랜드 매니저 챔피언별 목소리를 담당할 아티스트로는 매디슨 비어, 자이 라반스, 그리고 걸그룹 ‘아이들’의 미연과 서연을 선정했다. 이들은 목소리뿐 아니라 모션캡처를 통해 챔피언 일부 안무 동작도 연기했다.

라이엇 게임즈가 아티스트를 섭외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특정 프로젝트나 브랜드와 핏(Fit)이 잘 맞는지 여부다. K/DA 멤버별 담당 아티스트를 섭외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소연은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나왔을 때부터 주목했다. 실력과 이미지 등이 아카리와 핏이 잘 맞을 것 같아 적극 섭외했다. 실제로 4명 모두 (연기) 소화가 너무 잘 돼 예상보다 훨씬 좋은 결과가 나왔다.

섭외 못지않게 가장 공을 들인 것이 멤버별 스토리라인을 세밀하게 구축하는 것이었다. 팬들이 K/DA를 살아있는 사람처럼 느끼게 하려면 입체적인 성격과 배경 스토리가 필요했다. 라이엇게임즈는 각각의 챔피언이 좋아하는 색상과 음악은 물론 어디에서 살고 어떤 도시를 선호하는지 등까지 세밀하게 설정했다. 그리고 공식 홈페이지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채널로 활용해 가상으로 미디어 인터뷰를 진행하는 등 실제 연예인들이 그렇듯 대외 소통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알리의 경우 K/DA에 합류하기 전인 2013년 ‘팝샤인 어워드’에서 가장 재능 있는 신인 K팝 아티스트로 선정돼 5장의 싱글 앨범을 발표한 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휴식기를 보냈다. 소녀 같은 이미지를 벗어던진 뒤 하이 패션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고, 패션위크 기간 피날레 드레스를 입고 전 세계 런웨이를 빛내며 자신만의 향수 ‘매혹’을 론칭했다. 물론 어디까지나 창작일 뿐이다.

K/DA ‘팝스타’ 뮤직비디오에서 ‘매혹’ 스킬을 사용하는 알리. 영상 팝스타 뮤직비디오 스토리는 상상력을 자극한다. 이용자들이 궁금해하는 비하인드 스토리도 상당수 창작했다. 어느 때 보면 이게 진짜인가 싶을 정도로 스토리를 촘히 만들었다. 이렇게 스토리가 탄탄해야 팬들이 K/DA를 더 신경 쓰고 그러면 실제로 존재하는 걸그룹처럼 느끼게 된다고 봤다.

K/DA의 팬덤은 확장되고 있다. 라이엇 게임즈가 처음 타깃으로 삼은 것은 롤을 즐기는 게이머들이었다. 실제로 게이머들은 K/DA에 빠르게 빠져버렸다. 그런데 예상외로 롤을 즐기지 않지만 케이팝을 좋아하는 팬층이 생기기 시작하더라. K/DA를 통해 롤을 알게 된 팬들도 있었다.

K/DA를 통해 롤을 알게 된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여러 측면에서 팬층이 확장되고 있다. 이전에도 IT업계에서 이처럼 아바타를 활용한 사례가 있었지만 실제로 가수들이 노래를 부르고 아바타가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고 공연도 하고 굿즈도 나온 경우는 없었다. K/DA는 메타버스의 종합적인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케이스를 만든 계기가 된 것 같아 기쁜 마음이다.

롤을 좋아하는 팬과 케이팝을 좋아하는 팬. 서로 다른 성향의 팬덤이 형성됐기 때문에 마케팅을 진행할 때에도 양측을 고려해야 했다. 게이머를 위한 굿즈로 로지텍과 함께 게이밍 마우스를 만드는 동시에 K팝 팬들을 위한 굿즈로 응원봉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라이엇게임즈는 팬들을 위해 K/DA SNS 계정을 만들어 사진을 올리며 소통하고 팬클럽도 모집했다.

(왼쪽) 라이엇 게임즈와 로지텍이 협업하여 만든 K/DA 굿즈, (오른쪽) K/DA 응원봉, 이미지 ᅥ ライ 라이엇 게임즈 제공

앞으로 K/DA와 라이엇게임즈의 음악 유니버스는 어떤 길을 걷게 될까. 김 매니저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확장성은 무한하다고 말했다. 김 매니저는 “가상 인플루언서, 특히 게임을 기반으로 한 인플루언서는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며 “브랜드적인 관점에서도 앞으로 잘 키워나갈 것이며 또 많은 분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토아단은 “음악 유니버스의 미래를 탐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한 가지 도전 과제가 있다면 아직 우리의 꿈을 완벽하게 이루기 위한 기술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인데, 이러한 기술도 가까운 미래에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지금 드릴 말씀은 우리를 주목해 달라는 것뿐이다. 앞으로 어떤 음악 프로젝트를 선보일지에 대해 밝힐 수는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라이엇 게임즈가 가져온 혁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작 서정윤 ㅣ 디자인 김수우 inter – [email protected]

• AI로 만든 가상 얼굴 ‘루이’… 가상 ‘인간’이라고나 할까?• 이케아로 사흘간 숙식을 해결한 인플루언서, 실존 인물이 아니라고?·국내 산업계를 들썩이게 한 ‘신예 스타’ 로지를 만든 이들.인스타 8만, 가상인간이 소통하는 과정은 이랬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