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a) 트레일과 만자니 타 호수 (Manzanita Lake) 라슨볼카닉 국립공원 화산재해지역 (Devastated)

지난 8월 말 산불 속에서 힘들게 찾은 캘리포니아 9개 내셔널 파크(National Park) 중 위기 주부가 마지막으로 아홉 번째로 찾은 북가주 라슨 볼캐닉(Lassen Volcanic) 국립공원의 마지막 이야기이다.

9박 10일 자동차 여행 중 2박 3일 캠핑여행 마지막 날, 서밋레이크 노스 캠핑장 해발 2,042m의 쌀쌀한 아침인데도 오랜만에 혼자 카메라를 들고 캠핑장 주위를 둘러봤다.

호반 남북으로 야영장을 누비는 ‘정상의 호수’ 서밋레이크(Summit Lake)의 고요한 아침~

이곳에서 동쪽으로 등산로를 따라가면 에코레이크(Echo Lake) 등 작은 호수가 흐르고, 지금은 캐스케이드 산맥(Cascade Range)을 따라 북캐나다 국경까지 이어지는 퍼시픽 크레스트 트레일(Pacific Crest Trail)을 만난다고 한다. 당시에는 곰이 자주 출몰하므로 백패킹을 금지한다는 안내판이 따로 세워져 있었다.

전방 리딩 피크(Reading Peak) 오른쪽 너머로 전날 지혜와 단둘이 올랐던 라슨 피크(Lassen Peak) 정상이 살짝 보인다. 캠프 사이트로 돌아가 아침을 간단히 먹고 철수해 공원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올랐다.

중간에 들른 곳은 1915년 화산폭발로 인한 영향이 자주 나타나는 재난지역(Devastated Area)을 짧게 둘러보는 곳이다. (사진을 클릭하여 원본을 보시면 안내판 내용을 읽어보실수 있습니다)

트레일 주차장에서 내려다보니 이곳에서 약 3마일 떨어진 라슨 화산 한가운데 해발 3,187m 정상이 잘 보였다.

올드 자이언트(Old Giants)라는 이름의 이 화산암(lava rock)은 27,000년 전 래슨 피크가 올랐을 때 만들어졌는데 1915년 화산 폭발과 함께 정상으로부터 5km 떨어진 이곳까지 떠내려갔다고 한다.

사진의 5개의 돌이 실제로 바닥에 ‘쪼로미’라고 놓여있다.^^왼쪽 2개는 2만7천년 전에 만들어졌고 오른쪽 3개는 1915년 화산폭발 때 만들어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어린 바위라고 한다.

짧은 트레일을 마치고 공원 길을 달려 공원 북쪽 출구 빌리지까지 왔지만 길을 잘못 들어 캠프장 입구 쪽으로 먼저 왔다. 이곳의 이름은 오른쪽 통나무 벤치에 새겨진 만자니타레이크(Manzanita Lake)다.

돌아와 방문객센터에 도착하니 마스크를 쓴 레인저가 커다란 야외 임시 안내판에 필요한 정보를 붙이고 있었다.

다행히 이곳에서 꼭 들어가야 할 장소인 루미스 뮤지엄(Loomis Museum)은 문을 열었고 국립공원의 핀드 기념품으로 사고 내부를 구경할 수 있었다.

사진작가 프랭크 루미스(Fr ank Loomis)가 1915년 6월 14일에 건판사진기로 찍은 이 장면들은 최초로 사진에 기록된 화산폭발 장면들로 미국 전역의 신문에 실렸고 이듬해 이곳이 미국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한다.

번호가 적힌 순서대로 총 6장의 사진이 전시돼 있지만 안쪽에는 코로나 때문에 들어갈 수 없었다. 당시 필름 카메라는 화질이 좋지 않아 사진사들이 건판 카메라를 사용했기 때문에 루미스도 이 사진을 찍을 때마다 최대한 빨리 건판(plate)을 번갈아 가며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방문객 센터는 문을 닫고 원래는 만자니타 호수나 북리플렉션 레이크(Reflection Lake) 주변 산책로를 따라 조금 하이킹을 하려고 했는데 산불 연기가 점점 나는 것 같아 일찍 먹고 가기로 했다.

그래서 다시 캠핑장 쪽으로 들어가 호반 피크닉 구역에 자리를 잡았다. 요즘 산불 연기가 짙어져 라손피크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적은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고 했는데 잘 만났다.”

같이 사진 찍자~

컵밥으로 점심을 먹고 공원을 나와 3시간 정도 자동차를 달려 네바다(Nevada)주 리노(Reno)에 도착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시고 위기 주부의 유튜브 구독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