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
안녕하세요. 노안, 백내장 등은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으로 50대 이상부터 노안, 백내장과 함께 다양한 안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20대 분들도 20대 백내장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원래 백내장은 노안으로 나타나는 게 일반적인데요. 요즘은 스마트폰을 많이 쓰다 보니까 눈의 노화로 인해서 수정체를 조절하는 눈 근육의 탄력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백
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것도 눈의 노화가 주된 원인입니다. 백내장이 진행되면 시야가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등 시력 감퇴가 나타나고 진행성 질환인 만큼 과숙백내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은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단순한 노안으로 착각해 장시간 방치했다가 수술 시기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대 백내장은 노안과 초기 증상이 비슷하고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환자 스스로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관
관련 전문의에 따르면 백내장은 발견되는 대로 수술을 받아야 하는 안질환은 아닙니다. 초기에 발견하면 적절한 약물요법을 통해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으며 이후 지속적인 경과관찰을 통해 환자가 불편을 호소할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은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한 후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수술은 근거리와 원거리 중 하나의 초점만을 선택하여 개선할 수 있는 다초점 수술과 근거리, 원거리, 중거리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된 다초점 수술의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를 놓칠 경우 수술을 받더라도 포도막염, 녹내장, 인공수정체 탈구 등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해 재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20대 백내장을 조기에 발견하고 초기 단계에서 의료진과 함께 적절한 수술 시기를 상담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2
0대 백내장 치료의 경우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초기에 병세가 진행되는 속도를 늦추기 위해 사용하면 좋을 텐데요. 따라서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중기 이후에는 수술적인 방법으로 수정체의 혼탁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최근에는 3D로 안구를 스캔한 후 레이저로 이루어지는 수술이 개발되어 고려할 수 있습니다.
레
이자를 이용한 이 수술은 수정체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하고 마이크론 단위의 레이저로 정교하게 혼탁 부위를 파쇄해 수정체 주변의 손상을 최소화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레이저로 절개 위치와 깊이는 물론 각도까지 정확하게 예측하고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할 수 있어 근시와 난시, 노안, 원시까지 동시에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허
나 수술로 혼탁 부위를 깨끗이 제거하고 인공수정체 삽입으로 시력이 개선됐다 하더라도 각막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수술 직후 시력을 10년 후까지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수술의 핵심은 각막 내피세포의 손상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각막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각막 내피세포는 각막 외피세포와 달리 한 번 파괴되면 재생되지 않고 조직이 손상되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각막 내피 자체에 탁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좋은 시력을 오래 유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때
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죠. 건강한 내피세포 수는 2,000~3,000개 정도나 손상을 입으면 확연히 줄어들어 눈의 방수 기능을 잃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각막 안쪽으로 방수가 되고 각막에 부종이 생기거나 수포가 발생하는 등의 각막질환을 유발하게 됩니다. 치료는 치료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이상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득이하게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각막 내피세포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수술법인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권장될 것입니다.
event.hotbloo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