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에 편도염

편도선은 입과 코 안쪽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구조로 밖에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은 호흡기로 세균이 침입하기 쉽고 편도선염과 같은 급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우며 일교차가 큰 시기나 피로가 쌓이면 편도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환절기 편도염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환절기 편도염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급성, 만성이 있습니다.급성 편도염의 증상은 구개편도에 나타나는 염증으로 환절기와 감기를 앓은 후에 나타납니다.

만성 편도염의 증상은 급성 편도염이 반복되거나 목의 이물감, 통증 등 지속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입니다.

급성 편도염 증상

  • 목이 아프고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오는 경우 – 한기와 고열 – 관절통과 두통, 전신근육통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염증이 심한 경우, 편도선 표면에 하얗거나 노란 막이 붙어 있는 경우 – 편도선 주변 입안이 붉게 충혈되어 커져 있는 경우
  • 만성 편도염 증상
  • – 급성 편도염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 – 편도 비대로 인한 코골이, 무호흡증이 나타난 경우 – 편도 결석으로 인한 지속적인 구취, 목 이물감이 동반되는 경우 –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경우 – 음식이나 침을 삼킬 때 목의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간절기 편도염 예방법

  • 춥다고 해서 환기를 시키지 않을 수 있으나 편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환기를 자주 해야 합니다. 개인 위생도 중요하지만 구강 청결은 항상 유지해야 하고 손도 자주 씻어야 합니다. 휴식을 취해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하고 수분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얇은 옷을 입고 나서 온도 변화에 따라 벗거나 입으면서 체온 조절을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환절기 편도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편도염에 대해서는 잘 이해해 주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