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자가 읽기에는 부족한 낭만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서양 과학에 무조건 맹종할 필요는 없지만 어떻게 세계를 좌우할 수 있는 파급력을 갖게 되었는지를 관찰하고 탐구할 필요는 있다. 관찰하고 탐구하는 그 자체가 학문적 태도다. 신기하고 새로운 현상을 배우고 발견하는 것은 단순한 호기심에서 비롯된다.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여러 사람이 수세기에 걸쳐 지식을 쌓는 것, 끊임없이 검증하고 반박하고 새로운 근거를 더하는 것, 자신의 생각을 제3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 그것을 대학에서 배워야 한다. 58

대학이 이들에게 배운 것보다 배우는 재미와 괴로움을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만의 의견을 갖는 보람을 일깨워 주기 바란다. 자신을 발견하고 받아들이고 눈을 들어 앞으로 나아가는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는 그 즐거움과 고통을 우주의 이해에서도, 글쓰기의 이해에서도, 시민교육 전자기학 천체물리학 개론에서도 가르쳐 주기 바란다.꼭 대학을 다녀야 한다면 대학졸업장이라는 한없이 뻔한 문서 하나가 주는 즐거움과 보람을 위해 기꺼이 젊음을 바치기를 바란다. 63-시적 허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학에서 배움과 성찰, 낭만을 기대하고 실천하면 바보가 되는 현실에서 학생들에게 강의하는 자의 로망이 너무 태연해 꾸밈없이 놀라울 뿐이다.지금보다 취업이 덜 힘들었던 나의 대학생활을 돌이켜보면 더 치열한 전쟁터에서 투쟁과 이기심으로 뭉쳐있는 대학생들.결혼생활이 대중화되지 않았던 시절이라 삼삼오오 모여 밥도 먹고 강촌으로 엠티를 가서 종강파티를 하던 그 시절은 남아있던 대학이라는 낭만의 부스러기를 최대한 끌어들이던 마지막 축제였다.그러나 남이 올라가면 내가 추락하는 이 냉엄한 현실에서 그 사회 진출의 출발점에 대해 앞선 출전자들에게 호기심을 잃지 말고 배움의 진수를 잃지 말라는 말은 원칙에 입각한 조언과 그 무심함이 독자를 슬프게 한다.석사 이상은 올라가지 않으면 효력을 발휘할 수 없는 분야가 있다. 그러나 나머지 대부분은 학사로 마친 성취를 갖고 사회에 진출한다.교양수업으로 천문학 강의를 듣는 이런 평범한 학사과정을 마치려는 사람들에게도 이 조언이 과연 도움이 될까.

나는 좋아하는 록밴드의 새 앨범이 나올 때마다 언니에게 강제로 들려주면서 알겠지? 괜찮지?라고 몇 번이나 물었다. 그러자 음악 취향이 생겨서 꽤 나른해진 언니는 마지못해 몇 초 듣다가도 안 듣다가, 좋다라고 짧게 한마디하고 고개를 끄덕여 주었다.하지만 내가 그런 몰상식한 짓을 몇 년이고 되풀이하자 어느 날 그만 좀 하라고 화를 냈다. 좋아, 나의 감동은 오로지 나만의 것이었어. 내가 코스모스를 읽었을 때의 모습은, 여동생이 꼈던 이어폰을 차마 내팽개치지 못한 언니의 모습과 다르지 않아.좋은 작품이고 훌륭하다는 건 알지만 꼭 나까지 그렇게 함께 좋아야 하나 하는 표정이다.칼 세이건은 긍정적인 의미에서 대단한 선동가였다. 85 – 발칙한 우주 산책

코스모스는 과학책이라기보다는 과학자들이 쓴 인문학 에세이에 가깝다.전문과학자들이 볼 때 이 책은 과학 서적보다 멀리 나온 칼 세이건의 소망과 꿈이 담긴 한 권의 문학으로 볼 확률이 높다.비이과생에게 이 책은 약간의 어려움을 이겨내기만 하면 읽을 수 있는 재미와 흥미로 가득 차 있다.그러나 그 실체에 비해 코스모스라는 책이 다소 과대평가돼 있다는 데 동의한다.같은 분야에 있는 과학자들이 볼 때 이 책이 다소 거지임은 알겠지만 그렇다고 모두 (본인처럼) 과학자는 아니니까.

부모 중 하나가 가사와 양육을 맡거나, 도우미를 고용하거나, 조부모 등 친척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자녀 한 명을 키우기 어려운 사회. 맞아, 현실이 그렇다고 백 번은 인정해 그것이 현실이지만 그것이 여성들의 문제로 인식되는 것은 슬프다.직장에서는 그렇게 프로페셔널해야 한다면서 가정에서의 의무는 가볍게 여기는 아이러니가 뭘까.여성들이 남성 중심의 문화에 적응해 나가듯 워킹맘들이 자녀는?이라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려고 노력하듯이, 이들도 여성들 워킹맘들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기 바란다.108 – 최고의 우주인

육아의 부모-남녀간의 분업은 반드시 필요하다.적어도 남자가 두 살을 더 원한다면 (인공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 희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그렇다.직장에서 엄마 노릇을 하는 것을 인색하게 보는 회사와 대부분의 육아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것은 모순이다.육아의 책임이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다면 직장에서의 출산과 육아의 복지 혜택이 풍부해야 하고 직장에서 성별 구분 없이 전문가임을 요구한다면 사회적으로 육아의 책임을 한쪽 성에 중점적으로 요구해서는 안 된다.

사실 자녀는 가족의 일원을 낳는 가정의 일이며 사회의 일원을 탄생시키는 사회적 사건이지만, 애당초 부모 개인의 선택이다.지금 모든 육아와 관련한 사회문제가 대두하고 있는 원인은 모든 육아에 「부모」가 완전하게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는 육아에 관한 사회적 책임의 부재에 있다. 모든 비용과 수고를 개인에게 전가하는 것은 국가나 사회가 손대지 않고 코를 푸는 매우 쉬운 사회적 비용의 해결 방법이다.그러나 간혹 육아에 지친 부모들이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없다고 토로하는 외로움에 간혹 혀를 내두를 때가 있다.아이를 데리고 나가면 주위에서 고생이라는 위로의 말만 할 뿐 실제로는 도움이 안 된다는 말은 이런 수고를 처음 보는 남이 도와줘야 한다는 이상한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자녀 양육 후의 성과와 보람은 부모가 완전히 얻게 되지 않을까, 타인에게만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여기서부터 의심은 출발한다. 연애, 결혼도 상대방에게 원하는 것을 주입하는 순간관계가 뒤틀릴 수 있듯이 상대방에게 OO하기를 바라는 이기심은 어디에서 어떻게 기인하는가-이러한 부모의 이기심이 과도하게 발현될 때 사회문제로 대두된다.나는 그 ‘선택’에 대한 의무와 책임, 그리고 그 후의 행복에 대해 냉정하게 인지해야만 이런 사회적 문제가 줄어든다고 생각한다.우리는 조카 바보라는 말이 얼마나 무지하게 들리는지 알고 있다. 조카가 ‘아이’가 되었을 때 받는 책임감, 그것이 가볍게 사라진, 오로지 귀엽고 사랑스러운 밝은 면만을 취득해 빠져나갈 수 있는 3촌 이상이 갖는 그 혜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언론은 사람들이 어려운 과학자를 주목하고 싶어 하며, 고통을 극복한 영웅담에 빨리 감탄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과학자를 많이 길러냄으로써 그중 한 사람이라도 많아지는 과정을 지지하거나 지켜보는 것은 별로 인기가 없는 것 같다. 세계적 과학자가 어디 나올 리 없다.146 – 인터뷰를 할까요?

그래서 방송국 놈들이란 단어가 통한다.사실보다 과장되고 극적이고, 과대하게 대중에게 제시하고, 자주 책임도 포기하는 그 방송국 놈들-한국은 적지만 미국 TV라는 쉬운 미디어의 의존성은 사실 저소득 저소득 저소득층에 비례한다.단순한 주입식 TV는 책과 같은 매체보다 낮은 이해수준과 높은 접근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이것은 보도 프로그램과 함께, 드라마, 예능 등 일차원적이고 비사고적이며 비사유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매체의 특성상,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냥함」을 필요로 하는 시청자에게 소구 되기 위해서, 만드는 사람을 무엇을 가치로 할까-이전에 정보 프로그램에 소개된 맛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흥겹게 튀기는 탕수육과 값싸고 푸짐하게 식사를 하던 손님들-막상 연명하며 찾아간 식당은 고된 노동에 지친 주인과 나처럼 여기저기서 모여든 분주한 손님들로 그 맛은 너무나 평범했다.이처럼 TV는 진실보다는 장식과 장식에 치중한 매체임을 깨닫는다면 공평할 필요가 없다.

아무리 계산해도 지구를 중심으로 행성의 운동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관측 자료를 다시 분석했다.태양이 한가운데 있으며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행성들이 배열되어 있다는 것도 그의 자료에서 알 수 있었다.그런데 그렇게 훌륭한 분석을 해놓고도 정작 자신의 결과는 믿기지 않았다. 과학자로서 확신이 부족했던 것인지, 지동설을 주장하는 순간 시작된 교회의 탄압을 이겨낼 자신이 없었던 것인지, 그가 지동설에 기초한 자신의 연구결과를 책으로 펴낸 것은 만년의 병석 때문이었다.그가 세상을 떠난 뒤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가 출간됐다.훗날 그가 완벽하게 옳았음이 증명되면서 지동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발상의 대전환을 촉발하는 사건을 코페르니쿠스 혁명에 비유하는 시대가 올 것임을 그는 모르고 눈을 감았다.201 – 잘 알려진 천문학자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전과 거대한 발견이라고 할 지동설은 이렇게 해서 탄생한다.천문학은 우리가 사는 세계를 가장 작게 상정하고, 가장 먼 거리를 관측해 그곳에서의 “우리”의 존재를 깨닫게 한다.나는 가끔 내 손에 들려 있는 스마트폰과 얇아도 뭐든지 할 수 있는 노트북을 사용해도 깜짝 놀란다.그것도 매우 비싸지 않은 가격에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쉽게 누릴 수 있는 기술 발전은 과거 어떤 상위 계층이 누렸던 것 이상이다.그러나 이들 발달된 기술에 비해 우리는 아직 지구와 지구가 존재하는 우주라는 거대한 미지의 숙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게다가 거기에 맞물린 어떻게 인류가 탄생했는가 하는 수수께끼까지-몇 광년 되는 먼 거리의 우주를 관측하고 연구한다고 해서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 그리고 현실, 한 인간이라는 존재 등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노파심을 품기도 한다.우주에 나와 보이는 창백한 점, 지구에 경탄하며 먼 거리에서 볼 때, 지금 직면한 현실적 문제들은 별것 아니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이는 마치 학문적 이성이 현실 감성을 이긴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우주적) 감성이 (현실적인) 이성을 빼앗은 것처럼 무례하다. 그렇게 단언하기엔 인간사는 단순하지 않으니까.이런 직접적인 비유와 주장이 나왔다

서양 과학에 무조건 맹종할 필요는 없지만 어떻게 세계를 좌우할 수 있는 파급력을 갖게 되었는지를 관찰하고 탐구할 필요는 있다. 관찰하고 탐구하는 그 자체가 학문적 태도다. 신기하고 새로운 현상을 배우고 발견하는 것은 단순한 호기심에서 비롯된다.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여러 사람이 수세기에 걸쳐 지식을 쌓는 것, 끊임없이 검증하고 반박하고 새로운 근거를 더하는 것, 자신의 생각을 제3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 그것을 대학에서 배워야 한다. 58

대학이 이들에게 배운 것보다 배우는 재미와 괴로움을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만의 의견을 갖는 보람을 일깨워 주기 바란다. 자신을 발견하고 받아들이고 눈을 들어 앞으로 나아가는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는 그 즐거움과 고통을 우주의 이해에서도, 글쓰기의 이해에서도, 시민교육 전자기학 천체물리학 개론에서도 가르쳐 주기 바란다.꼭 대학을 다녀야 한다면 대학졸업장이라는 한없이 뻔한 문서 하나가 주는 즐거움과 보람을 위해 기꺼이 젊음을 바치기를 바란다. 63-시적 허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학에서 배움과 성찰, 낭만을 기대하고 실천하면 바보가 되는 현실에서 학생들에게 강의하는 자의 로망이 너무 태연해 꾸밈없이 놀라울 뿐이다.지금보다 취업이 덜 힘들었던 나의 대학생활을 돌이켜보면 더 치열한 전쟁터에서 투쟁과 이기심으로 뭉쳐있는 대학생들.결혼생활이 대중화되지 않았던 시절이라 삼삼오오 모여 밥도 먹고 강촌으로 엠티를 가서 종강파티를 하던 그 시절은 남아있던 대학이라는 낭만의 부스러기를 최대한 끌어들이던 마지막 축제였다.그러나 남이 올라가면 내가 추락하는 이 냉엄한 현실에서 그 사회 진출의 출발점에 대해 앞선 출전자들에게 호기심을 잃지 말고 배움의 진수를 잃지 말라는 말은 원칙에 입각한 조언과 그 무심함이 독자를 슬프게 한다.석사 이상은 올라가지 않으면 효력을 발휘할 수 없는 분야가 있다. 그러나 나머지 대부분은 학사로 마친 성취를 갖고 사회에 진출한다.교양수업으로 천문학 강의를 듣는 이런 평범한 학사과정을 마치려는 사람들에게도 이 조언이 과연 도움이 될까.

나는 좋아하는 록밴드의 새 앨범이 나올 때마다 언니에게 강제로 들려주면서 알겠지? 괜찮지?라고 몇 번이나 물었다. 그러자 음악 취향이 생겨서 꽤 나른해진 언니는 마지못해 몇 초 듣다가도 안 듣다가, 좋다라고 짧게 한마디하고 고개를 끄덕여 주었다.하지만 내가 그런 몰상식한 짓을 몇 년이고 되풀이하자 어느 날 그만 좀 하라고 화를 냈다. 좋아, 나의 감동은 오로지 나만의 것이었어. 내가 코스모스를 읽었을 때의 모습은, 여동생이 꼈던 이어폰을 차마 내팽개치지 못한 언니의 모습과 다르지 않아.좋은 작품이고 훌륭하다는 건 알지만 꼭 나까지 그렇게 함께 좋아야 하나 하는 표정이다.칼 세이건은 긍정적인 의미에서 대단한 선동가였다. 85 – 발칙한 우주 산책

코스모스는 과학책이라기보다는 과학자들이 쓴 인문학 에세이에 가깝다.전문과학자들이 볼 때 이 책은 과학 서적보다 멀리 나온 칼 세이건의 소망과 꿈이 담긴 한 권의 문학으로 볼 확률이 높다.비이과생에게 이 책은 약간의 어려움을 이겨내기만 하면 읽을 수 있는 재미와 흥미로 가득 차 있다.그러나 그 실체에 비해 코스모스라는 책이 다소 과대평가돼 있다는 데 동의한다.같은 분야에 있는 과학자들이 볼 때 이 책이 다소 거지임은 알겠지만 그렇다고 모두 (본인처럼) 과학자는 아니니까.

부모 중 하나가 가사와 양육을 맡거나, 도우미를 고용하거나, 조부모 등 친척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자녀 한 명을 키우기 어려운 사회. 맞아, 현실이 그렇다고 백 번은 인정해 그것이 현실이지만 그것이 여성들의 문제로 인식되는 것은 슬프다.직장에서는 그렇게 프로페셔널해야 한다면서 가정에서의 의무는 가볍게 여기는 아이러니가 뭘까.여성들이 남성 중심의 문화에 적응해 나가듯 워킹맘들이 자녀는?이라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려고 노력하듯이, 이들도 여성들 워킹맘들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기 바란다.108 – 최고의 우주인

육아의 부모-남녀간의 분업은 반드시 필요하다.적어도 남자가 두 살을 더 원한다면 (인공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 희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그렇다.직장에서 엄마 노릇을 하는 것을 인색하게 보는 회사와 대부분의 육아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것은 모순이다.육아의 책임이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다면 직장에서의 출산과 육아의 복지 혜택이 풍부해야 하고 직장에서 성별 구분 없이 전문가임을 요구한다면 사회적으로 육아의 책임을 한쪽 성에 중점적으로 요구해서는 안 된다.

사실 자녀는 가족의 일원을 낳는 가정의 일이며 사회의 일원을 탄생시키는 사회적 사건이지만, 애당초 부모 개인의 선택이다.지금 모든 육아와 관련한 사회문제가 대두하고 있는 원인은 모든 육아에 「부모」가 완전하게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는 육아에 관한 사회적 책임의 부재에 있다. 모든 비용과 수고를 개인에게 전가하는 것은 국가나 사회가 손대지 않고 코를 푸는 매우 쉬운 사회적 비용의 해결 방법이다.그러나 간혹 육아에 지친 부모들이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없다고 토로하는 외로움에 간혹 혀를 내두를 때가 있다.아이를 데리고 나가면 주위에서 고생이라는 위로의 말만 할 뿐 실제로는 도움이 안 된다는 말은 이런 수고를 처음 보는 남이 도와줘야 한다는 이상한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자녀 양육 후의 성과와 보람은 부모가 완전히 얻게 되지 않을까, 타인에게만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여기서부터 의심은 출발한다. 연애, 결혼도 상대방에게 원하는 것을 주입하는 순간관계가 뒤틀릴 수 있듯이 상대방에게 OO하기를 바라는 이기심은 어디에서 어떻게 기인하는가-이러한 부모의 이기심이 과도하게 발현될 때 사회문제로 대두된다.나는 그 ‘선택’에 대한 의무와 책임, 그리고 그 후의 행복에 대해 냉정하게 인지해야만 이런 사회적 문제가 줄어든다고 생각한다.우리는 조카 바보라는 말이 얼마나 무지하게 들리는지 알고 있다. 조카가 ‘아이’가 되었을 때 받는 책임감, 그것이 가볍게 사라진, 오로지 귀엽고 사랑스러운 밝은 면만을 취득해 빠져나갈 수 있는 3촌 이상이 갖는 그 혜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언론은 사람들이 어려운 과학자를 주목하고 싶어 하며, 고통을 극복한 영웅담에 빨리 감탄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과학자를 많이 길러냄으로써 그중 한 사람이라도 많아지는 과정을 지지하거나 지켜보는 것은 별로 인기가 없는 것 같다. 세계적 과학자가 어디 나올 리 없다.146 – 인터뷰를 할까요?

그래서 방송국 놈들이란 단어가 통한다.사실보다 과장되고 극적이고, 과대하게 대중에게 제시하고, 자주 책임도 포기하는 그 방송국 놈들-한국은 적지만 미국 TV라는 쉬운 미디어의 의존성은 사실 저소득 저소득 저소득층에 비례한다.단순한 주입식 TV는 책과 같은 매체보다 낮은 이해수준과 높은 접근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이것은 보도 프로그램과 함께, 드라마, 예능 등 일차원적이고 비사고적이며 비사유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매체의 특성상,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냥함」을 필요로 하는 시청자에게 소구 되기 위해서, 만드는 사람을 무엇을 가치로 할까-이전에 정보 프로그램에 소개된 맛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흥겹게 튀기는 탕수육과 값싸고 푸짐하게 식사를 하던 손님들-막상 연명하며 찾아간 식당은 고된 노동에 지친 주인과 나처럼 여기저기서 모여든 분주한 손님들로 그 맛은 너무나 평범했다.이처럼 TV는 진실보다는 장식과 장식에 치중한 매체임을 깨닫는다면 공평할 필요가 없다.

아무리 계산해도 지구를 중심으로 행성의 운동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관측 자료를 다시 분석했다.태양이 한가운데 있으며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행성들이 배열되어 있다는 것도 그의 자료에서 알 수 있었다.그런데 그렇게 훌륭한 분석을 해놓고도 정작 자신의 결과는 믿기지 않았다. 과학자로서 확신이 부족했던 것인지, 지동설을 주장하는 순간 시작된 교회의 탄압을 이겨낼 자신이 없었던 것인지, 그가 지동설에 기초한 자신의 연구결과를 책으로 펴낸 것은 만년의 병석 때문이었다.그가 세상을 떠난 뒤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가 출간됐다.훗날 그가 완벽하게 옳았음이 증명되면서 지동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발상의 대전환을 촉발하는 사건을 코페르니쿠스 혁명에 비유하는 시대가 올 것임을 그는 모르고 눈을 감았다.201 – 잘 알려진 천문학자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전과 거대한 발견이라고 할 지동설은 이렇게 해서 탄생한다.천문학은 우리가 사는 세계를 가장 작게 상정하고, 가장 먼 거리를 관측해 그곳에서의 “우리”의 존재를 깨닫게 한다.나는 가끔 내 손에 들려 있는 스마트폰과 얇아도 뭐든지 할 수 있는 노트북을 사용해도 깜짝 놀란다.그것도 매우 비싸지 않은 가격에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쉽게 누릴 수 있는 기술 발전은 과거 어떤 상위 계층이 누렸던 것 이상이다.그러나 이들 발달된 기술에 비해 우리는 아직 지구와 지구가 존재하는 우주라는 거대한 미지의 숙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게다가 거기에 맞물린 어떻게 인류가 탄생했는가 하는 수수께끼까지-몇 광년 되는 먼 거리의 우주를 관측하고 연구한다고 해서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 그리고 현실, 한 인간이라는 존재 등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노파심을 품기도 한다.우주에 나와 보이는 창백한 점, 지구에 경탄하며 먼 거리에서 볼 때, 지금 직면한 현실적 문제들은 별것 아니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이는 마치 학문적 이성이 현실 감성을 이긴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우주적) 감성이 (현실적인) 이성을 빼앗은 것처럼 무례하다. 그렇게 단언하기엔 인간사는 단순하지 않으니까.이런 직접적인 비유와 주장이 나왔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