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헬스]투렛증후군_’틱장애’의 종류, 진단기준, 원인, 치료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뚜렛증후군이라는 말로 한번쯤은 들어봤던 틱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뚜렛증후군뿐만 아니라 다양한 틱장애의 종류와 진단기준, 원인,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러 갈까요~?!

틱장애 증상의 예/틱장애의 종류

틱 증상은 운동 틱과 음성 틱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이 두 종류의 틱 증상 유무에 따라 틱 장애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음성틱과 운동틱 중 하나가 나타나는 틱장애는 지속성(만성) 운동틱 or 지속성 음성틱이라고 하며, 음성틱과 운동틱을 모두 틱증상으로 가지고 있는 장애를 투렛장애라고 합니다! 위의 두 틱장애의 종류는 1년 이상 지속되어야 진단이 가능하나 1년 미만에서 음성틱 또는 운동틱이 나타나면 잠정적 틱장애라고 합니다-! 그럼 세 가지 틱장애의 진단기준을 살펴봅시다~?! 틱장애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투렛장애 진단기준

2. 지속성 운동 or 음성 틱 장애 진단 기준

3. 잠정적 틱장애의 진단기준 틱장애의 원인 틱장애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 뇌의 신경생리학적 이상, 심리적·환경적 요인 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 뚜렛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아들에게 나타나는 비율이 높습니다.
  2. ▷ 가계 내 일치율-틱 장애의 경우 일란성 쌍둥이 연구에서는 77-100%이고, 이란성 쌍둥이에서는 23%이며,-틀렛 장애의 경우 일란성 쌍둥이는 53-56%, 이란성 쌍둥이는 8%입니다.-만성 틱 장애의 경우 일란성 쌍둥이는 77-94%, 이란성 쌍둥이는 23%입니다!
  3. ▷ ADHD, 강박장애와의 연관성이 높고 공통의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틱장애는 중추신경계 중 전두엽과 대뇌기저핵에 병변이 있어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의 CSTC(피질-선조체-시상-피질) 운동회로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발생 가설입니다.

3. 뇌의 신경생리학적 이상▷1970년에 할로페리돌이라는 약물이 틱 증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신경전달물질(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의 이상이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 심리적·환경적 요인 ▷ 부정적/긍정적 스트레스(긴장/흥분) 상태가 지속되고 부모가 자녀에 대한 기대 수준이 너무 높거나 강압적인 훈육체제로 틱장애 발생률이 높습니다!

틱 장애의 선별 및 평가

심리검사 : 한국어판 예일틱 증상 평가 척도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 YGTSS)

▷ 운동틱과 음성틱 각각의 증상의 수, 빈도, 심한 정도, 복합성, 방해 정도 및 장애도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최초 발병 시점, 약물 복용 상태, 가족력 등도 함께 조사합니다.▷ 운동틱 및 음성틱 점수와 장애도를 합친 값을 전체 점수로 합산하여 틱장애를 선별 및 평가합니다! 틱장애 치료방법

  1. 학부모 교육 및 가족상담 ▷ 틱 증상에 대한 학부모님의 과도한 관심이 또 다른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잠정적 틱장애의 경우 증상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스트레스원을 찾아 취급
  2. ▷ 틱 증상으로 인한 2차 문제도 다뤄야 합니다. 정서 문제

2. 심리상담 및 교육 ▷ 증상에 대한 오해와 편견, 주위의 압력 때문에 심리적 문제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우울, 불안, 자신감 결여 등에 대한 지지적인 상담이 필요합니다!

▷ 투렛장애는 치료를 받지 않으면 예후가 만성적이고 장기화되면 심각한 적응문제와 정서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적인 심리장애에 대한 예방 및 심리상담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인지 수정 치료 집중 실행 : 틱 장애 아동에게 의도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틱 증상을 지속, 반복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관련 사건 처리: 조작적 조건 형성이론에 따라 정적 강화 또는 부적 강화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정적 강화법이 보다 명확한 효과가 있습니다.이완훈련법 : 근육긴장과 이완법, 심호흡, 시각이미지 등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입니다.자가관찰: 틱 증상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도록 일기를 쓰는 등 자신의 틱에 대한 통제능력을 기르는 방법입니다.

4. 약물치료 ▷ 증상이 심한 틱장애, 잠정 틱장애가 아닌 만성 틱장애, 투렛장애의 경우 약물치료를 합니다.▷ 할로페리돌은 부작용이 흔하므로 심한 투렛장애의 경우에만 사용하고 증상이 약하다면 알파아드레날린 길항제인 크로니진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오늘은 이렇게 틱 장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그럼 또 다른 건강정보를 가지고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틱장애 #뚜렛증후군 #뚜렛장애 #음성틱 #운동틱 #뚜렛 #틱 #정신건강 #정신장애 #백석앤아이 #휠체어리프트 #장애인시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