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차 시장은 2025년 26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자동차 업체는 물론 IT 기업들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성장세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출처 : KPMG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1)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기술 2) 주행 상황을 판단하고 제어하는 기술 3)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판단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집약된 운송 수단입니다.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6단계=미국자동차기술학회, SAE=일반적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시장 예측이나 관련 정책을 논할 때 미국자동차기술학회(SAE)에서 구분한 6단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운전자 개입 및 책임 O-레벨 0~레벨 2
운전자 개입과 책임 X 주행 제어와 주행 중 변수 감지를 시스템이 담당 – 레벨 3 ~ 레벨 5
레벨 0 비자동화 – 100% 운전자가 조작하는 자동차 – 차량 시스템은 긴급상황 알림 등 보조기능만 수행
레벨 1 운전자 보조 – 시스템 활성화로 차량의 속도와 차간 거리 유지, 차선 유지로 운전자 보조 – 자동 브레이크와 속도 조절 등 일부 기능만 보조
레벨2 부분 자동화-특정 조건 내에서 일정 시간 차량의 조향과 가감속을 차량이 통제 가능-커브에서의 조향과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보조 수행 가능(레벨1보다 발전)-운전자가 항상 모니터링해야 하며 시스템을 인지하지 못하면 운전자는 즉시 안전하게 개입해야 한다.
레벨3 조건부 자율주행 – 위험시에만 운전자 개입 가능 (운전자 상시 모니터링 필요 X) – 주행제어와 주행중 변수 감지는 시스템이 담당 – 일정구간 자율주행이 가능하나 운전자 대비가 필요한 단계
레벨 4 고등 자율주행 – 도로에서 자율주행 가능 – 제한된 상황을 제외하고 운전자의 제어가 불필요한 자율주행 단계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 운전자 없이도 주행 가능한 완전 자율주행 – 탑승자는 목적지만 입력
테슬라, BMW를 비롯해 일부 업체가 출시하고 있는 차량은 현재 레벨2에 해당하는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출처 : HMG 저널
레벨3는 2022년 안에 상용화된다며 레벨3 이상부터는 자율주행이 본격 개입하기 때문에 자동차회사의 법적 책임도 발생합니다.
2026년부터 레벨5 수준의 자율주행차가 시장에 도입되고 2030년부터는 레벨5 수준의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전망이라고 하는데 정말 얼마 남지 않았네요.
치열한 자율주행 시장, 과연 승자는 누구?자율주행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는 기업이 미래의 승리자가 될 것입니다. (정말 궁금하다)
2030년이 지나면 자율주행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제한 자율주행자동차와 완전 자율주행자동차 시장 규모는 역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지금 이 시점에서 자율주행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포인트입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2035년까지 84.2%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KPMG
그래서 자율주행 인프라에 대한 패권전쟁이 굉장히 치열합니다.완성차 업체는 물론 자동차 부품 기업, IT 소프트웨어 기업, 통신사까지 자율주행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고군분투 중입니다.
완성차/부품/IT기업 등 기업의자율 주행기술의 위치와 각각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중요하게 보여주고 추후에 포스팅에는 이 내용을 적어보려고 합니다.(예정은 없는 약속..). 문과생인 저는 많은 공부를 해야할 것 같아요. ㅋㅋㅋ
현재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기업은 구글 웨이 모입니다. 웨이 운전하는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 평가 1위를 받은 기업이 됐거든요.그리고 현대차도 앱과 합작법인을 만들어 미래 기술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만 아니라 라자율주편 시스템의 안전성 문제와 책임주체와 관련한 법률 제정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법과 제도 정비에도 기술 발전에만 다소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이 부분에 대해서도 업데이트하면서 자율주행 시스템의 발전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우리나라도 ‘자율주행자동차의 사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개정해 시대 흐름에 발맞추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레벨 3자 율주의 외출 사용화를 위한 제도를 완비했으며, 오는 2024년까지 레벨 4자 율주의 외출 안전 기준 등 완전 자율주행차 사용화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클릭↓ [국도교퉁부] 자율주행자동차 윤리/보안/안전방향 가이드라인 3종 발표(보도자료)
법령-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 2020.5.1.][법률 제16421호, 2019.4.30. 제정] 본문 부칙 본문의 제개정 사유, 연혁싱크랩 비교법령체계도 법령의 주소복사 화면 내 검색 판례 연혁위임 행정규칙 규제,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자율주행자동차법)[시행 2020.5.1.][법률 제16421호, 2019.4.30.제정]국토교통부(첨단자동차기술과), 044-201-3848, … www.law.go.kr
- 미국 조사기술회사 네비곤투 리서치 2020년 자율주행자동차 보고서 내 순위·자율주행 기술을 중점으로 평가하되 -비전, 시장 지출 전략, 파트너, 생산 전략, 투자 규모, 품질 안전 등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해 평가 진행.
출처 : 오토뷰
자율주행에 대해 기술, 기업, 제도 등 면밀히 공부해야 합니다.PC, 휴대폰, 그 다음은 이 자율주행 기술이 미래 기술의 핵심 키 포인트 중 하나라고 생각되네요.자율주행에 편승해 내 계좌도 점프업해 보기를 기대하며 관련 뉴스와 리포트를 닥치는 대로 읽어볼 생각입니다. ^_^ [같이 읽으면 좋은 문장]구글 1편 – 사업구조(지배구조) / 매출비중 / 각 사업영역 / 자회사
구글/알파벳 기업분석 2편(실적, 주가, 알파벳 ABC차, 결론)
2021년의 실적이 기대되는 만도
SK텔레콤에 거는 기대(적금 대신 SKT?)
#자율주행 #자율주행6단계 #자율주행기술 #웨이모 #구글 #만도 #현대자동차 #주식투자 #주식투자주도주 #미래자동차 #미래자동차 #투자 #성공투자 #미리대비하자 #예측보다 대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