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레벨3 차량은 한국에서 언제쯤 볼 수 있을까. 22년 말을 기대해 주세요.

얼마 전 벤츠 S클래스, EQS에 탑재될 자율주행 시스템이 언제쯤 한국에 상륙할지 예상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작년 6월쯤 자율주행 레벨 3 법규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고급, 그리고 기술의 선구자 메르세…blog.naver.com 다임러 홈페이지에 다음과 같이 한국이 언급되어 있네요.한국도 UNECER 157(또는 UNR 157) 법규를 제정할 때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추가 인증 절차도 없이 바로 한국에 도입할 수 있는 시스템인가요?

한국의 이미 차선유지 레벨 3 안전기준을 2020년 1월에 발표했고, 같은 해 7월에 발효시켰습니다.한편 UNR 157 법규는 그로부터 약 5개월 후인 2021년 1월에 발효되었습니다.

우선 발효된 한국 안전기준의 경우 UNR 157 법규에 비해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먼저 발표/발효된 한국 법규이기 때문에 UN 법규와 100% 동일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게다가 한-EU FTA에서 상호 인정되는 자동차 안전기준 목록에 UNR157은 들어 있지 않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때문에 UNR157로 인증된 메르세데스 모델이 당장 한국에 출시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래 FTA 부속서 일부를 해석해보면 한국의 차선유지 자율주행 법규는 UNR157 법규와 동일하게 개정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있습니다. (아래 제4조 하이라이트 부분 참조)

마침 김한영 PD의 모카방송을 보면 제네시스 G90에 탑재될 자율주행 레벨3 기능(HDP-Highway Drive Pilot)이 2022년 말쯤 탑재될 것 같다고 하시네요.

한국, 유럽에 적용되는 자율주행 법규가 다르다면? 이건 현대기아차도 원하지 않을 거예요.국가 법규에 맞게 사양을 나누는 것은 제조사에 있어서 여러 가지 마이너스 요소입니다. FTA가 원하는 방향도 아니잖아요.

따라서 현대·기아차의 G90 HDP가 대중에게 선보이는 2022년 말에는 한국 법규도 UNR157과 동일하게 개정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 법규를 만족하는 HDP를 먼저 선보이고 이후 유럽 법규를 만족시키는 사양을 변경하여 그쪽 국가에 판매하는 비효율을 원하지 않으시죠? 애초부터 현대차는 한국-유럽 모두 만족스러운 사양으로 출시하는 것으로, 그 말은 그 시기에는 양국의 법규가 동일할 것으로 예측 가능) 이를 통해 UNR157 법규를 만족하는 벤츠 모델도 이 시기에 한국에서 선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자율주행 레벨3 기능이 탑재된 제네시스와 벤츠 모델을 만날 2022년 말이 기다려집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