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증상, 식후에만 집에 통증이?

식후에 명치로 통증을 느끼시는 분이라면 오늘 게시물을 잘 봐주세요. 식후에 명치 통증이 생기면 담석증일지도 모릅니다. 담석에 돌이 생기는 질환을 담석증이라고 하는데 담석증의 절반은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가장 뚜렷한 통증이 식후에 명치 통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담석증 소탕이라고 하는 담낭 담낭은 간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주머니입니다.담즙은 지방의 소활을 돕는 것으로 간에서 생성된 후 담낭 속에 보존되고 식사 시 담낭은 수축하여 총담관이라고 불리는 관으로 이동합니다. 십이지장에 담즙이 배출되어 음식 소화를 돕습니다. 이렇게 간에서 만들어진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로 담낭입니다. 이 소화액이 뭉쳐서 돌처럼 된 것을 담석이라고 합니다. 담석은 담낭뿐만 아니라 담관이나 간의 담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60%는 아무런 증상이 없습니다. 스스로 담석이 있을 수도 있어요. 식사를 시작하고 약 30분 내외에 통증이 시작되어 2, 3시간 정도 지속되었다가 서서히 사라집니다. 통증의 강도는 오른쪽 갈비뼈 아래에 뭉친 느낌이 듭니다. 심한 명치 통증까지 나타나거나 구역질, 구토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등에 통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당뇨병이라면 담석증이 발병할 확률은 더 높아집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담석증이 더 나타나기 쉽습니다. 혈중 중성지방의 수치가 높아 단기간에 체중이 크게 줄어들 경우 담석증 확률이 높아집니다. 중년이거나 비만도 위험인자에 속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담즙 성분의 변화, 담즙 정체, 감염에 의한 결석 형성, 유전적인 원인 등이 위험 인자로 꼽히고 있는 것입니다.

담낭이 아닌 담관에 결석이 생기면 황달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간염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담석증은 치명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담즙은 하루에 500ml에서 1200ml 정도 생성된다고 합니다. 물, 콜레스테롤, 지방, 담즙산염, 단백질, 빌리루빈 등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담즙산염은 지방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고 빌리루빈은 담즙, 변이 누렇게 갈색이 됩니다. 만약에 액체인 담즙이 너무 많은 콜레스테롤, 담즙산염, 빌리루빈 등을 포함하게 되면 딱딱해지고 담석이 되는 거죠.

담석증을 예방하려면 통증 발작을 예방하거나 치료 후 담석증의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한식 형태의 밥을 먹는 것이 담석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서양화된 식사의 형태는 담석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골고루 먹어도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생활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외식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기름이 많아지면 담석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담석증이 이미 있다면 지방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비타민, 무기질을 적절히 섭취하는 식이요법이 필요합니다. 식사 원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런데 장시간 지방 섭취량을 줄이면 영양 상태가 나빠지고 오히려 건강에 해롭습니다. 조리 시에는 기름을 적당히 사용하여 어육류를 적당히 먹으면 도움이 되겠네요.

한의학적으로는 체내의 열과 수분을 처리하여 간에 있는 기, 피의 순환을 촉진합니다. 이담하는작용이있는처방을하는방법을쓴다고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