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정 아나운서, 82년생 김지영 이해할 수 없는 페미니스트 화제

여성 아나운서가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관람한 뒤 쓴 후기가 화제입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가 여성은 물론 극소수의 남성들로부터도 공감을 얻었고,

현재 평점도 9.5로 비정상적으로 높습니다.

그런 상황에 이례적으로 여성 서사에 대한 반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소감을 낸 게 논란입니다.

프리 아나운서로 활동하는 김나정은 자신의 SNS에

82년생 김지영에 대해 여성의 부정적인 측면만 부각시킨 영화라고 평했다.”어차피 여자로 태어나면서 이 영화처럼 남자, 여자가 불평등하고 매사에 부당하고 억울하게 살면 너무 우울할 것 같다” “학교 다닐 때도 어떻게 예쁜 치마를 입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못 입을 것 같아서 남자들처럼 바지 교복을 입고 싶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올렸다.

여성 관객들이 영화가 그린 현실에 공감해 수차례 관람하는 ‘N차 관람’이나 본인이 직접 관람하지 않아도 관람객이 적은 시간대에 영화표 예매라도 해 힘을 보태는 ‘영혼 보내기’ 등의 방식으로 영화를 지지하는 것과는 다른 반응입니다.

자신이 읽은 책을 인용해 “남녀관계에서 똑똑한 여자는 남자에게 화를 내거나 바가지 씌우는 게 아니라 ‘얼마나 힘들었을까’ 걱정해서 애교롭게 껴안으면 그게 관계에서 오히려 현명하게 남자를 다스리고 예뻐받고 사랑받는 방법이라고 했다”고 페미니스트를 향해서는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권력을 모르는 것 같다.남자를 다스리면서 귀여움 받고 사랑받는 방법이 있다” “비정상적인 평등을 외치며 특히 싸우는 페미니스트들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여성이 나서 기존의 ‘성대결’ 갈등을 부추긴다는 점을 지적한 댓글이 폭주 주제 소설을 원작으로 한 82년생 김지영은 페미니즘 견해를 담은 영화로 알려져 개봉 전부터 일부 남성 네티즌에게 평점 테러를 당했지만 현재 비정상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영화에 출연하거나 영화를 추천하는 여성 연예인을 겨냥한 댓글 공격도 잇따르면서 영화 자체보다는 성대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김나정 아나운서는

새 게시글에 “제 의견은 영화 자체에 대해 ‘옳다, 아니다’를 얘기하고 싶은 게 아니라 제 개인적인 생각” “제 피드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 역시 좋은 댓글이든 아쉬워하는 댓글이든 모두 소중하고 감사하다”고 전했습니다.

영화 ’82년생’의 김지영은 28일 기준 누적 관객수 126만2901명을 기록하며 23일 개봉 후 이날까지 7일 연속 예매율 1위에 오르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