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는 사람이 많을 거예요. 어렸을 때도 보기 힘든 습관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위험한 습관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을 자세히 보면 실명 위험이 높은 눈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선정한 3대 실명 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은 특별한 증상 없이 갑자기 시력을 잃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급성폐쇄가 녹내장은 안압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여러 증상이 나타나지만 혈압처럼 안압이 항상 일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잘못된 스마트폰 사용 습관은 안압 상승은 물론 안구건조증, 근시 등을 유발해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녹내장의 종류와 원인 녹내장의 종류와 원인은 일반적으로 시신경의 손상이 서서히 진행됨에 따라 시야가 좁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녹내장은 원전성 개방이 각 녹내장 또는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불립니다. 한편 급성폐각녹내장은 눈물 속 물의 경로(방수)인 전각이 좁아지거나 닫히면서 안압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물의 분비, 순환, 방출로 안압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다만 여러 가지 이유로 급속히 변화할 수 있는데 특히 방수 순환이 동공에 막혀 전각이 좁아지면서 방전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눈이 좁은 사람이 어두운 곳에 엎드려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근거리 제어는 렌즈를 두껍게 하고 동공매질을 유지시켜 동공차단이라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눈의 방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배출되지 않은 방수가 안압을 상승시켜 급성 폐각 녹내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녹내장 증상 녹내장 증상은 급성폐색성 녹내장은 두통, 메스꺼움, 구토를 동반하여 안압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막부종으로 인해 눈이 심하게 충혈되어 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안압을 낮출 수 있는 집중치료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치료기간을 놓치면 실명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 어두운 공간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계속 쳐다보면 잘 보기 위해 깜박이는 횟수가 줄고 눈빛이 팽팽한 상태가 이어집니다.
점멸 횟수를 줄이면 안구건조증이 올 수 있으며 초점을 맞추기 위해 눈의 섬모근육에 지속적으로 긴장하게 되면 눈의 피로가 높아지고 일시적으로 시야가 흐려지거나 복시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스크린에 비친 빛이 동공으로 들어가 망막을 자극해 눈부심과 빛의 확산, 야간 근시 등을 유발해 장기적으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여러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전에 주위를 밝게 하거나 눕기보다는 바르게 앉아야 합니다. 또 어두운 곳에서 20분 이상 보는 것을 피하세요, 그러니까 항상 눈 건강을 위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