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켜야 할 필수의약품’…고혈압-저혈압 치료제

엄태성 기자 / 승인 2022.10.120 6:50(20) 고혈압 치료제 ‘미녹시딜정’ – 저혈압 치료제 ‘미드린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으로 그 어느 때보다 감염병을 예방하는 백신 등 의약품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특히 자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인 의약품에 대한 자급률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보는 국가에 없어서는 안 될 의약품에 대해 다시 한번 재확인하기 위해 국가필수의약품을 지속적으로 지적하려 한다. 지난 3월 15일 ‘우리가 지켜야 할 필수의약품’ 연재 개시에 이어 20번째로 고혈압 치료제 ‘미녹시딜 정제’와 저혈압 치료제 ‘미도드린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흔히 탈모치료제로 알려진 ‘미녹시딜’ 성분이 최초 개발에서는 궤양치료제였다. 하지만 혈관 확장 기능에 효과가 좋아 고혈압 치료제로 개량해 쓰였다. 그러나 이를 복용한 환자들에게서 뜻밖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나타났고, 이를 주목한 제약사가 탈모 치료제로 연구하면서 1988년 ‘로게인’으로 미국에서 허가를 받아 탈모 환자에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앞서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는 국내에 필수의약품으로 지정돼 있어 일부 제약사가 여전히 고혈압 적응증을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고용량 미녹시딜정은 5mg으로 고혈압 치료제로, 이보다 저함량인 2~5%의 외용제는 모발 생성을 촉진시키는 탈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모발관리에 대한 탈모나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탈모, 선천탈모는 효과가 제한적이다.국내에 허가된 품목을 살펴보면 11일 기준 총 8개사 9개 품목에 달한다.

▶현대미녹시딜정은 1985년 7월 현대약품이 국내 최초로 허가받은 미녹시딜정으로 전문의약품이다. 효능효과는 증후군 또는 표적기관의 손실에 따른 고혈압이나 이뇨제와 두 종류의 혈압강하제를 병용 투여하는 최대 용량에도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불응성 고혈압)이다.

12세 이상인 경우 초회량으로 1일 1회 5mg을 경구 투여하고 유지량으로 1일 10~40mg을 1~수회 분할 투여하며 1일 최대 10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12세 이하는 초회량으로 하루 1회 체중kg으로 그램당 0.2mg을 투여하고 최적 상태로 조정될 때까지 50100%를 증량할 수 있다. 유지량으로 1일 체중 키로 그램당 0.25mg~1mg을 투여하고 1일 최대 5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현대미녹시딜전은 2017년 12억원에서 2018년 16억원, 2019년 24억원, 2020년 30억원, 2021년 36억원까지 생산량이 증가하며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명문 미녹시딜정(수출용)은 2013년 10월과 11월 잇따라 명문약의 손에서 5mg과 2.5mg이 나왔다. 불응성 고혈압 등에 사용되는 미녹시딜정이다.

이 약 투여 빈도의 경우 하루 동맥 혈압 변동 크기는 혈압 감소량에 비례하며, 배위 확장 기압 감소는 30mmHg 미만일 경우 1일 1회 투여해도 되며, 배위 확장 기압이 30mmHg 이상일 경우 1일 2회 분할 투여한다.

다만 크롬친화세포종 환자나 승모판 협착폐 고혈압 환자, 급성 심근경색 환자는 투여해서는 안 되며 만성 울혈성 심부전 환자나 중증 신부전 환자, 협심증 환자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2.5mg은 2016년 1737만원을 생산했고, 5mg은 생산 실적이 없는 상태다.

▶동광미녹시딜전은 2014년 11월 동광제약이 허가받은 품목으로 고혈압 치료 전문약이다. 다만 부작용으로 다모증 등에 주의해야 하며 삼출성 발진이나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심전도 이상, 심낭삼출 및 전색 등의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임신 중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모유 중 이행 여부도 알려져 있지 않다. 수유 중에는 투여를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 수유를 중단한다.

이 제품은 2017년 4억원, 2018년 6억원에 이어 감소했던 2019년과 2020년 5억원이량을 지난해 3억원에 생산하는 데 그쳤다.

이밖에 메디카코리아의 ‘메디카 미녹시딜전’은 지난해 1천만원을 생산했다. 안국약품의 ‘안국미녹시딜정 2.5mg’은 2017년 13억원, 2018년 23억원, 2019년 34억원, 2020년과 지난해 12억원으로 추락했다.

아울러 유니온제약의 유니미녹시딜전은 지난해 6187만원을 생산했고, 인트로바이오파마의 ‘인트로미녹시딜전’과 대한뉴팜의 ‘대한뉴팜미녹시딜전’은 유니온제약에 위탁생산하고 있다.

반면 저혈압은 정상혈압보다 낮은 55~90mm/Hg를 의미하며 위험수준은 50~35mm/Hg이다. 혈압이 갑자기 떨어지면 혼수 등 충격 위험이 높고 사실은 고혈압보다 위험성이 높다.

증후성 저혈압은 심장, 내분비계 등의 질환에 의한 것으로 평소 지병이 있어 낮아지는 경우이며 본태성은 병적인 원인도 있을 수 있으나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저혈압으로 보이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례가 많다.

또 기립성 저혈압은 눕거나 앉아 있는 자세로 장시간 있다가 갑자기 몸을 움직이거나 깨울 때 심장 유입 혈액의 양이 줄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알코올 중독이나 당뇨병, 신경증, 약물의 부작용이 위험 요인이다.

▶미드론정은 1993년 10월 명문약이 허가된 국내 유일의 미들린 염산염 제제로 전문약이다. 효능효과는 기립성-본태성-증후성 저혈압이며 성인의 경우 1회 2.5mg을 하루 2~3회 경구 투여한다.

장기 투여 시 최소 유효량을 투여하고 나이,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며 누운 자세, 고혈압 위험을 줄이기 위해 늦어도 취침 4시간 전에 복용해야 한다.

특히 고혈압 환자나 심각한 심질환자, 급성심장염 환자,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크롬친화세포종 환자, 폐쇄우각형 녹내장 환자, 혈관경련, 혈관폐색 환자, 전립선종 환자 등 배뇨장애 환자, 빈맥성 부정맥 환자는 투여해서는 안 된다.

또한 심한 신장장애 환자나 부정맥 환자는 신중하게 투여하며 때때로 두드러기나 발진, 가려움증, 메스꺼움, 복통, 간기능장애, 심실성 기외수축, 두통, 초조감, 빈뇨, 드물게 발한이나 열감, 어깨 결림,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약은 2017년과 2018년 9억원 안팎을 생산한 뒤 2019년 15억원, 2020년 10억원, 2021년 18억원을 생산해 전반적으로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우리가 지켜야 할 필수의약품’…고혈압-저혈압 치료제-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newsthevoice.com)

Tag #미녹시딜 #고혈압 #저혈압 #미드린 #미드론 #명문 #현대 #필수의약품

error: Content is protected !!